부피유량 (m3/h) – 질량유량 (t/h) 변환 알아보기




부피유량 (m3h) - 질량유량 (th) 변환 알아보기 썸네일🌬️ 기체 부피유량 (m³/h) ➡️ 질량유량 (t/h) 변환 방법

공정 설계·운전에서 기체 부피유량을 질량유량으로 변환하는 작업은 원가 계산, 장비 용량 선정, 안전성 검토까지 직결됩니다.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.

1️⃣ 부피·질량유량 기본 개념

부피유량(Volumetric Flow, Q): 단위 시간당 부피 이동량 ▶ m³/h
질량유량(Mass Flow, m): 단위 시간당 질량 이동량 ▶ t/h
두 값의 연결고리는 밀도(ρ)입니다.

질량유량 = 부피유량 × 밀도 (같은 부피라도 무게는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)

질량유량 기본 개념 이미지
질량유량 기본 개념

2️⃣ 기체 밀도 계산 핵심

기체는 온도·압력 변화에 매우 민감합니다. 이상기체 방정식을 간단히 변형한 ρ = (P × M)/(R × T)를 기억해 두세요.

✔️ 변수 정리

  • 🌡️ P (압력): Pa (절대압)
  • 🧪 M (분자량): kg/mol (예: 공기 0.029)
  • 📏 R (기체상수): 8.314 J/mol·K
  • 🔥 T (절대온도): K (℃ + 273.15)




3️⃣ 단계별 변환 실습

아래 3단계만 따라 하면 계산이 끝납니다.

✔️ 1단계 — 부피유량 확인

예) 공기 500 m³/h (실제 조건 = Am³/h)

✔️ 2단계 — 밀도 계산

조건: ★ T = 25 ℃ (298.15 K), ★ P = 1 atm (101 325 Pa)
ρ = (101 325 × 0.029)/(8.314 × 298.15) ≈ 1.18 kg/m³ = 0.00118 t/m³

✔️ 3단계 — 최종 질량유량

ṁ = 500 m³/h × 0.00118 t/m³ = 0.59 t/h

4️⃣ Nm³/h vs Am³/h 구분

  • 🅽 Nm³/h : 0 ℃, 1 atm 표준 상태. 밀도 고정값 사용(공기 ≈ 1.293 kg/m³).
  • 🅰 Am³/h : 실제 온·압 조건. 반드시 밀도를 다시 계산해야 함.




이상으로 기체 부피유량을 질량유량으로 변환하는 전 과정을 정리했습니다. 이 가이드는 현장 설계 데이터시트와 공인 물성치(예: NIST, API RP)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추가 세부 사항은 내부 공정 기준서나 장비 제조사 매뉴얼을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.

#부피유량 #질량유량 #기체밀도 #Nm3h #Am3h #m3h #th #플랜트엔지니어링 #유체역학 #공정계산

댓글 남기기